공인중개사 공부일지
[민법 개념] 대리권은 언제 사라질까? 소멸 사유 정리
맹이ISFP
2025. 6. 6. 09:00
📚 대리권의 소멸 사유, 깔끔하게 정리!
대리권은 일정한 사유가 발생하면 더 이상 유효하게 행사될 수 없습니다.
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대리권이 사라질까요?
✅ 대리권이 소멸하는 6가지 주요 사유
- 본인의 사망
→ 원칙적으로 대리권은 소멸하지 않음. 하지만 개인적 성격의 위임이라면 예외. - 대리인의 사망
→ 대리권 소멸. 대리인이 죽으면 더 이상 대리행위를 할 수 없음. - 본인의 행위능력 상실 (피성년후견인 등)
→ 특별한 사정 없으면 대리권 소멸하지 않음. - 대리인의 행위능력 상실
→ 대리권 소멸. 정신적 능력을 상실하면 대리행위 불가. - 위임의 취소
→ 본인이나 대리인이 일방적으로 위임 계약을 종료시키면 대리권 소멸. - 목적 달성 또는 계약기간 종료
→ 계약 목적이 완료되거나, 정한 기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대리권 소멸.
✅ 시험 포인트: 사망 시 대리권 유지 여부
- 본인의 사망: 원칙적으로 대리권은 유지
- 대리인의 사망: 대리권 소멸
📌 예시 상황
- 갑이 을에게 위임장을 줌 → 을이 사망하면 대리권은 소멸
- 갑이 사망해도 을의 대리권은 유효 (단, 성격상 위임 종료가 명백한 경우 제외)
✅ 핵심 비교표
본인 사망 | ❌ (유지) | 예외 있음 (개인적 성격일 경우) |
대리인 사망 | ✅ (소멸) | 대리 불가 상태 |
본인 행위능력 상실 | ❌ (유지) | 대리 가능 |
대리인 행위능력 상실 | ✅ (소멸) | 판단력 부족 |
위임의 해지 | ✅ (소멸) | 일방적 종료 가능 |
기간 만료 | ✅ (소멸) | 계약 조건 종료 |
💬 마무리 요약
대리권은 대리인의 상태 변화나 계약 조건에 따라 소멸됩니다.
시험에서는 “본인의 사망 → 대리권 소멸 아님”이라는 예외 규정이 자주 출제되므로 꼭 기억하세요!